민병대 (축구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병대(1918년 2월 20일 ~ 1983년 1월 4일)는 일제강점기 및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지도자, 행정가이다. 배재고등학교와 보성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보성전문학교 1학년 시절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동아경기대회에 출전했다. 광복 후에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1948년 하계 올림픽, 1952년 하계 올림픽 예선, 1954년 FIFA 월드컵, 1954년 아시안 게임 등에 출전하여 1948년 올림픽 8강 진출과 1954년 아시안 게임 은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은퇴 후 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코치, 대한민국 대표팀 단장, 대표팀 감독 등을 역임했으며, 한국실업축구연맹 회장을 지냈다.
배재고등학교와 보성전문학교(현 고려대학교)를 거쳤으며, 보성전문학교 재학 중 일본 대표팀에 발탁되어 1940년 기원 2600년 봉축 동아경기대회에 출전했다.[5] 보성전문학교 졸업 후에는 평양 축구단에서 활동했다.
1955년 현역에서 은퇴한 후 지도자와 행정가로서 축구계에 기여했다. 은퇴 직후 1957년까지 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코치를 지냈으며, 이후 대한민국 대표팀 단장을 맡았다.
2. 선수 시절
광복 이후에는 조선전업 축구단을 거쳐 대한민국 대표팀의 일원으로 활약했다. 1948년 하계 올림픽, 1954년 FIFA 월드컵, 1954년 아시안 게임 등 주요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대한민국 축구 초창기에 기여했으며, 특히 1948년 올림픽 8강 진출과 1954년 아시안 게임 은메달 획득에 힘을 보탰다. 1951년부터 1955년까지 육군 특무부대 축구단에서 코치 겸 선수로 활동한 뒤 은퇴했다.[8] 현역 은퇴 후에는 지도자의 길을 걸어 대한민국 대표팀 감독을 세 차례 역임했다.
2. 1. 초기 선수 경력
1918년 2월 20일 태어났다. 배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보성전문학교 (현재의 고려대학교)에 진학했다. 보성전문학교 1학년 때 일본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 1940년 6월 도쿄에서 열린 기원 2600년 봉축 동아경기대회에 일본 대표팀 선수로 참가하여 2경기에 출전했으나,[5] 이 대회는 국제 A매치로 인정되지 않는다. 보성전문학교 졸업 후에는 평양 축구단에서 활동했다.
광복 이후인 1946년, 김용식의 주도로 창단된 조선전업 축구단에 입단했다. 이후 대한민국 대표팀으로 선발되어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1948년 하계 올림픽 본선에 출전하여 대한민국 축구 역사상 첫 A매치 승리와 8강 진출에 기여했다. 또한 1952년 하계 올림픽 아시아 지역 예선, 1954년 FIFA 월드컵 예선, 1954년 FIFA 월드컵 본선(1경기 출전),[5] 1954년 아시안 게임에 출전하여 은메달 획득에 힘을 보탰다. 1951년부터 1955년까지는 육군 특무부대 축구단에서 코치 겸 선수로 활동하다가 현역에서 은퇴했다.[8]
2. 2. 광복 이후 선수 경력
광복 이후인 1946년, 김용식의 주도로 창단된 조선전업 축구단에 입단하였다. 이후 대한민국 대표팀에 발탁되어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활약했다. 대표팀 선수로서 1948년 하계 올림픽 본선(2경기 출전), 1952년 하계 올림픽 아시아 지역 예선, 1954년 FIFA 월드컵 예선 및 본선(각 1경기 출전), 1954년 아시안 게임 등에 출전하며 노익장을 과시했다. 특히 194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대한민국 축구 역사상 A매치 첫 승과 8강 진출에 기여했으며, 1954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은메달 획득에 일조했다. 1951년부터 1955년까지는 육군 특무부대 축구단에서 코치 겸 선수로 활동하다가 현역에서 물러났다.[8]
3. 은퇴 이후
대표팀 감독으로는 1962년, 1966년, 1972년부터 1973년까지 세 차례 팀을 이끌었으며,[5] 한국주택은행 축구단 감독 등을 역임하기도 했다. 지도자 시절에는 1974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당시 특정 선수 기용 문제로 이차만 등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9]
행정가로서는 대한축구협회 이사 및 부회장, 한국실업축구연맹 회장 등을 지냈다. 1980년 한국실업축구연맹 회장직을 끝으로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으며, 1983년 1월 4일 서울특별시 은평구 자택에서 향년 66세로 별세했다.
3. 1. 지도자 경력
1955년 선수 은퇴 후 지도자의 길을 걸었다. 1957년까지 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코치를 맡았고, 이후 대한민국 대표팀 단장을 역임했다.
대한민국 대표팀 감독은 여러 차례 맡았는데, 1962년, 1966년, 그리고 1972년부터 1973년까지 팀을 이끌었다.[5] 특히 1974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기간 중에는 장신 공격수 김재한을 활용한 전술을 주로 사용했다.[9] 그러나 이 전술 운용 방식으로 인해 당시 선수였던 이차만 및 문정식 코치와 갈등을 겪기도 했다.
이후 한국주택은행 축구단 감독 등을 역임했으며, 대한축구협회 이사 겸 부회장, 한국실업축구연맹 회장(1980년 사임) 등 축구 행정 분야에서도 활동하며 축구계 발전에 기여했다. 1980년 한국실업축구연맹 회장직을 끝으로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3. 2. 축구 행정가 경력
1955년 선수 은퇴 후 1957년까지 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코치를 맡았고, 이후 대한민국 대표팀 단장을 역임했다. 1962년, 1972년, 1973년에는 대한민국 대표팀 감독을 맡아 팀을 이끌었다.
감독직 이후에는 한국주택은행 축구단 감독 등을 지냈으며, 대한축구협회 이사 및 부회장을 맡아 축구 행정가로서 활동했다. 1980년 한국실업축구연맹 회장직을 마지막으로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1974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당시에는 장신 스트라이커 김재한을 활용한 공격 전술을 주로 사용했는데,[9] 이 전술에 불만을 품은 이차만이 민병대 감독 및 당시 코치였던 문정식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
1983년 1월 4일 서울특별시 은평구의 자택에서 향년 66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3. 3. 사망
한국실업축구연맹 회장직을 끝으로 경영직에서 물러났고, 1983년 1월 4일 서울특별시 은평구의 자택에서 향년 66세를 일기로 생애를 마감했다.
3. 4. 이차만과의 갈등
1974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당시 대표팀 감독이었던 민병대는 장신 스트라이커 김재한을 활용한 공격 전술을 주로 사용했다.[9] 그러나 당시 선수였던 이차만은 이러한 전술 운용에 불만을 품고 민병대 감독 및 문정식 코치와 마찰을 빚었다.
4. 국가대표팀 경력
일제강점기 시절 보성전문학교 재학 중 일본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 활동했으며,[5] 광복 이후에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선발되어 1948년 하계 올림픽과 1954년 FIFA 월드컵 등 주요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8][5]
4. 1. 일본 국가대표팀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활동했다. 1940년 기원 2600년 봉축 동아 경기 대회와 1942년 만주국 건국 10주년을 기념하는 "만주국" 건국 10주년 경축 동아 경기 대회에 일본 대표로 참가했다.그러나 이 대회들은 국제 축구 연맹(FIFA)에서 공식 A매치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식적인 국제 A매치 출전 기록은 없다.[6] 비공식 경기를 포함하여 1940년부터 1942년까지 총 5경기에 출전했으나 득점은 기록하지 못했다.
4. 2.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광복 이후인 1946년 김용식의 주도로 창단된 조선전업 축구단에 입단하였고,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8] 대한민국 국가대표로서 1948년 하계 올림픽 본선, 1952년 하계 올림픽 아시아 지역 예선, 1954년 FIFA 월드컵 본선, 1954년 아시안 게임 등에 출전하며 활약했다.[8][5]특히 194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대한민국 축구 역사상 첫 A매치 승리와 8강 진출에 기여했으며,[8] 1954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하는 데 힘을 보탰다.[8] 1954년 FIFA 월드컵 본선에서는 1경기에 출전했다.[5]
이후 1951년부터 1955년까지 육군 특무부대 축구단에서 코치 겸 선수로 활동한 뒤 현역에서 물러났다.[8]
연도 | 대회 | 소속팀 |
---|---|---|
1948 | 런던 올림픽 | 대한민국 |
1954 | 1954년 FIFA 월드컵 예선 | 대한민국 |
1954 | 1954년 FIFA 월드컵 | 대한민국 |
5. 수상
; 대한민국
6. 기타
일부 기사에서는 이름을 '''민내대'''(閔內大)로 잘못 표기하기도 했다.[18]
참조
[1]
뉴스
축구원로 민병대씨
http://newslibrary.n[...]
Naver
1983-01-05
[2]
웹사이트
Min Byung-dae
https://www.olympedi[...]
2021-10-15
[3]
웹사이트
1954 FIFA World Cup Switzerland
https://www.fifa.com[...]
[4]
웹사이트
Min Byeong-dae Biography and Olympic Results | Olympics at
https://www.sports-r[...]
Sports-reference.com
2012-01-27
[5]
웹사이트
"[1940.06.07] 東京・明治神宮外苑競技場"
http://samuraiblue.j[...]
2015-03-27
[6]
문서
일본대표 試合別出場記録
http://www.jfa.or.jp[...]
[7]
문서
대한축구협회는 당시 국제 축구 연맹 비회원국과의 경기를 포함한 16경기로 기록했다.
[8]
뉴스
축구원로 민병대씨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3-01-05
[9]
뉴스
韓(한)·濠戰(호전)축구 앞으로2일 두팀 戦力(전력)을 본다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73-10-26
[10]
뉴스
연습생 차상해'상전벽해'
https://newslibrary.[...]
한겨레신문
1993-09-10
[11]
뉴스
럭금,車相海(차상해) 大宇(대우)로 이적결정 프로축구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1-03-06
[12]
뉴스
연습생 차상해'상전벽해'
https://newslibrary.[...]
한겨레신문
1993-09-10
[13]
뉴스
"[스포츠短信]차상해 포철 이적"
https://www.busan.co[...]
부산일보
1992-04-24
[14]
뉴스
‘불운의 득점왕’ - 차상해②
https://news.kbs.co.[...]
KBS
2009-05-29
[15]
뉴스
‘불운의 득점왕’ - 차상해②
https://news.kbs.co.[...]
KBS
2009-05-29
[16]
뉴스
양정모배 레슬링...이지성 4강“태클”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1995-08-12
[17]
뉴스
‘불운의 득점왕’ - 차상해②
https://news.kbs.co.[...]
KBS
2009-05-29
[18]
뉴스
경응과 대항할 전경성축구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38-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